1.수련과정
∙ 1933년 무렵 재동공립보통학교 입학이후 일신초등학교 전학
∙ 1930년대 후반 교토 마이즈루(まいづる, 舞鶴)여학교 입학
∙ 1940년대 초반 동경 송죽소녀가극단(松竹少女歌劇団) 연구생 활동.
2. 일반/ 수상경력
1) 일반
∙ 1957년(2014년판 손목인 자서전에는 1956년), 작곡가 손목인과 결혼
∙ 1968년 무렵~1980년대 초, 손목인 도미 후 미국 거주. 일본에서도 잠시 거주.
∙ 1983년(2014년판 손목인 자서전에는 1982년), 귀국.
2) 수상
∙ 2001 연예인 선행상(국무총리 표창)
∙ 2004 제38회 가수의 날 공로대상
3. 활동경력
1) 작품 목록 (노래 목록)
∙ 1950년대 중반 이후, <첫사랑 맘보>(강탁수 작사·한복남 작곡·박춘석 편곡) 및 <후렌치 캉캉>(야인초 작사·한복남 작곡·박춘석 편곡), 도미도레코드 발매.
∙ 1950년대 중반 이후, <지루박 아가씨> <내가 좋아하는 보이후렌드> 등 4곡 정도(박시춘 작곡), 미도파(지구)레코드.
∙ 1958년 무렵, <마도로스 아가씨>(백록(白鹿) 작사·손목인 작곡), 유니버설레코드<인생은 고달퍼>(정다인 작사·손목인 작곡), 유니버설레코드
∙ 1958년, <눈 나리는 밤>(강일문 작사·손목인 작곡) 영화주제가. 유니버설레코드
∙ 연도미상, <비오는밤 탱고>(김은복(김은상) 작사·한복남 작곡), 발매사 미상(신태양 또는 도미도레코드 추정)
∙ 연도미상, <무정고백> 등 박향림 노래의 리메이크, 도미도레코드로 추정.
∙ 연도미상, <비 내리는 파리> (손목인 작곡), 발매사 미상
∙ 2011년, 《아직은 일러요/가시리(CD) 》, 훈상음향.
2) 작품 목록 (공연 활동)
∙ 1940년대 초반, 동경송죽소녀가극단 연구생 입단《하나우리무즈메》에 참여.
∙ 1940년대 중반, 귀국 후 하나오까가극단 입단. 순회 공연 등에 참여.《아께유꾸칸똥》에 참여. 버라이어티 시에 박향림 노래 <나비야 어서 가자> 등을 부름.
∙ 1940년대 중반, ‘소녀가극(단)’(송죽소녀가극단 2부 정도의 단체) 활동,《슌꼬뎅》 등에 참여.
∙ 1944년, 《이까리노아지아》 (부민관) 공연에 참가《怒りの亞細亞(いかりのアジア)》로 추정.
∙ 1944, 45년 무렵, 전수린이 주도한 위문대에서 순회 및 위문 공연.이시카와(石川, いしかわ) 위문대/예능단으로 추정.
[이재호와 관련된 공연 출연] 부산, 대구 등을 중심으로 활동.
∙ 해방 후 무렵, 《봉선화》 (김건 작, 박진 연출) 출연.
∙ 1950년대 초중반 추정, 《두만강》 (김건 작, 김기태·OOO 연출) 출연.
∙ 이후 연도 미상, 《양자강》 (김건 작, 박진 연출) 서울 중앙극장, 대구, 대전, 부산, 진주 등 공연.
[해방 이후 군위문 관련 공연 출연]
∙ 1949년 추정, 《육탄십용사》 (시공관)
∙ 1950년대 초중반 추정, 《오대산의 봄소식》 군부대 위문공연.
∙ 1967년 7월~1968년 여름, 주월 파병 장병 위문 공연단 참여(주월 한국군 사령부 초청)
∙ 1967년 말~1968년 초, 베트남에서 ‘더 브로드웨이’ 쇼 단체를 만들어 미군 대상 공연.
[1950-60년대 공연 출연] 김백희와 연관된 공연이 다수.
∙ 1950년대, 《쌍권총》(이부풍 작) 부산에서 공연.
∙ 1950년대, 《만리장성》 리메이크작 참여.
∙ 1955년 이후, 《꿈의 궁전》 리메이크작 참여.
∙ 1956년 무렵, 《아라비안나이트》 RCA-TV 방송을 위한 패키지 형식 공연에 참가.
∙ 연대미상, 《마타 하리》 패키지 형식 공연.
∙ 1957년, 《여두목》 (자유가극단) 시립극장 등 공연.
∙ 1957년 무렵, 《브라보 손목인》: 손목인 귀국 기념 공연. 서울, 대구, 부산제일극장 등.
∙ 1960년대 초중반, 여러 공연 단체를 통해 악극/뮤지컬 등의 공연 활동.
‘20세기’ 또는 ‘소녀가극’ 《물레방아》(국도극장), ‘스타더스트’ (국도극장), 《7인의 신부》(시공관), ‘20세기’ 일본 공연(동경 히비야) 등.
∙ 1970년대 이후, 미국의 LA, 뉴욕, 샌프란시스코, 하와이 등지에서 교포 대상 공연.
3) 기타 활동
∙ 1950년대 후반, 1960년대 초: 오정심프로덕션 설립, 영화 <주유천하> 제작 시도.
4. 구술자 저작물
단행본
∙ 손목인, 『손목인 가요인생』, 초이스북, 2014. : 구술자가 직접 저술한 것은 아니지만 기존에 발간된 자서전 내용을 구술자가 다시 수정, 개작한 내용이 있음
5. 구술자 관련 주요 예술사적 사건
∙ 1929. 콜롬비아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
∙ 1931. 시에론레코드, 돔보레코드, 디어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
∙ 1932. 포리돌레코드, 태평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
∙ 1932. 오케레코드 설립.
∙ 1934. 리갈레코드, 기린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
∙ 1935. 럭키레코드, 코리아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 동양극장, 부민관 개관.
∙ 1936. 신파극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공연, 최초의 음악영화 <노래 조선> 개봉. 밀리온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 오케레코드 및 시에론 레코드 서울취입소 설치. 오케연주단 일본 공연
∙ 1937. 빅타레코드 서울취입소설치. 오케레코드 데이치쿠레코드에 운영권 양도.
∙ 1938. 조선연예주식회사 설립(이철), 오케연주단 오케그랜드쇼로 확대.
∙ 1939. 조선악극단(오케그랜드쇼) 일본 공연.
∙ 1940. 반도가극단 및 콜럼비아가극단(라미라가극단) 창단, 오케음악무용연구소 설립. 오케싱잉팀 창단.
∙ 1941. 조선연예협회 결성 (이철). 성보가극단, 약초가극단 창단. 조선음악협회 결성.
∙ 1942. 조선연극문화협회 결성.
∙ 1944. 신태양악극단 창단.
∙ 1945. 조선레코드문화협회 결성. 남대문악극단 창립공연.
∙ 1946. CMC악단 개편공연, 악극협회 결성. 태평양악극단 창립공연. 조선레코드회사설립.
∙ 1947. 서울중앙방송국 전속 경음악단과 가수 모집
∙ 1947. 조선악극단 15주년 기념 공연 이후 사실상 해산. 조선대중음악협회 결성. 조선가극협회 결성. 빅타가극단 창립공연. 현대가극단 창립
∙ 1948. 강남악극단 창립공연.
∙ 1949. 반공악극 《육탄 십용사》 공연. 군예대 창설. 조선대중음악협회 새산.
∙ 1952. 부산 도미도레코드 설립. 일본에서 손목인 작곡 <ハワイの夜> 히트
∙ 1954. 유니버설레코드, 오아시스레코드, 미도파레코드, 서라벌레코드, 신신레코드 등 설립.
∙ 1955. 한국연예주식회사 창립과 자유가극단 설립.
∙ 1956. 대한레코드작가협회 결성.
∙ 1957. 손목인 귀국. 대한레코드가수협회 발족.
∙ 1958. 국산 10인치 LP음반 제작(공보실 레코드제작소)
∙ 1959. 일반 음반회사에서 10인치 LP음반 생산.
∙ 1960. 한국영화음악작곡가협회 발족. (부회장 손목인)
∙ 1961. 한국연예협회 창립(이사장 박시춘)
∙ 1962.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예총) 발족
∙ 1964. 한국음악저작권협회 발족(회장 손목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