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 예술사 구술채록사업
2003년 첫발을 내디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기록원의 ‘한국 근·현대 예술사 구술채록사업’은 예술사 연구를 위한 원로예술인들의 예술적 체험과 활동, 작품 세계를
집중 기록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용 안내
실물 이용 : 서초동 본원(예술의전당 內). 대출 불가.
웹 이용 : 아르코예술기록원 회원가입 → 구술기록 열람 시 주의사항 동의 후 열람(chrome 사용권장)
구술 채록문 : 서초동 본원(예술의전당 內), 대학로 분원(대학로예술극장 內), 외부 열람 가능.
구술 영상 : 서초동 본원(예술의전당 內), 대학로 분원(대학로예술극장 內), 외부 열람 가능.
구술 채록문 자료 출처표기 : ○○○ 구술, ○○○ 채록, 『0000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 : 구술자명』,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발간년도. 쪽수.
구술 영상 자료 출처표기 : ○○○ 구술, ○○○ 채록, 『0000년도 한국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연구 시리즈 ○○○ : 구술자명』, 한국문화예술위원회(舊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제○차, 00:00:00~00:00:00
구술기록 웹 열람 시 주의사항
구술채록 내용은 과거에 있었던 객관적 사실정보라기보다는 구술자의 시대적 경험, 가치관의 변화, 일정한 사안에 대한 해석을 다룹니다.
구술내용의 앞뒤 맥락에 대한 신중한 고려 없는 특정 내용의 인용 및 발췌는 개인의 명예훼손, 사생활 침해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구술기록을 열람할 시에는 구술자들의 발화맥락과 취지에 대한 다층적이고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용 시 참고사항
웹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채록문 중 일부자료(2003년 ~ 2005년 채록내용)는 구술채록자료집(발간자료)과 쪽수가 다를 수 있으니 자료인용 시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그밖에 구술내용의 공개범위가 결정되지 못한 일부 구술기록의 경우 서비스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방문열람을 원하시는 경우 소장자료 검색창과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검색창을 통해 이용여부를 반드시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구술채록현황 (2023.12.02. 기준, 단위: 명)
구분 |
공연예술 |
시각예술 |
대중예술 |
문학 |
문화예술 |
합계 |
연극 |
무용 |
음악 |
기타 |
조형 |
건축 |
사진 |
기타 |
생애사 |
38 |
18 |
32 |
- |
50 |
5 |
2 |
5 |
18 |
31 |
1 |
200 |
주제사 |
14 |
25 |
11 |
1 |
34 |
- |
- |
2 |
3 |
1 |
- |
91 |
소계 |
52 |
43 |
43 |
1 |
84 |
5 |
2 |
7 |
21 |
32 |
1 |
291 |
합계 |
139 |
98 |
21 |
32 |
1 |
291 |
생애사 |
공연예술 |
88 |
시각예술 |
62 |
대중예술 |
18 |
문학 |
31 |
기타 |
1 |
소계 |
200 |
주제사 |
공연예술 |
51 |
시각예술 |
36 |
대중예술 |
3 |
문학 |
1 |
기타 |
- |
소계 |
91 |
합계 |
공연예술 |
139 |
시각예술 |
98 |
대중예술 |
21 |
문학 |
32 |
기타 |
1 |
합계 |
2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