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를 다루고 싶었던 것은 퍽 오래전부터의 염원이었다. 이제까지 쉽게 실행에 옮기지 못한 것은 고어(古語)를 가사로 할 때의 구체적인 방법을 찾지 못한 때문이었다. 이번 국악원의 위촉(제23회 국립국악원 한국음악 창작발표회, 1985.12.13)은 관현악곡이었으나 이 기회에 전부터 생각하던 것을 실행에 옮기기로 작정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도 미해결의 상태지만 언제까지 미루어둘 수도 없어서 일단 시도해 보기로 한 것이다.
가사는 합창으로 다루어지고 관현악은 합창의 반주로서가 아니고 합창과는 별도의 2원적인 뜻을 지닌다. 특별한 리듬은 설정하지 아니했고 가사의 운율에서 오는 자연스런 리듬을 따랐다. 관현악은 국악기에 의해 음색선율을 시도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