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 수련과정 ◈
1961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졸업
1971년 하노버음악대학(Hochschule für Musik und Theater Hannover) 작곡과 K.A. 졸업
2004년 백석대학교 명예 박사학위 취득
◈ 활동경력 ◈
1973년~1976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재직
1976년~2001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재직
2001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취임
2004년~2010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지냄
2008년~2010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2기 위원 지냄
◈ 수상경력 ◈
1962년 신인예술상(문화공보부 주최) 수상
1975년 제5회 월간음악상(월간음악사 주최) 수상
1977년 제1회 대한민국작곡상((사)한국음악협회 주최) 문화공보부 장관상 수상
1982년 제3회 대한민국무용제((사)한국무용협회 주최) 음악상 수상
1983년 서울시문화상(서울시 주최) 수상
1990년 대한민국작곡상 양악부문 최우수상 수상
1993년 영창음악상(영창문화재단) 수상
1995년 한국음악상((사)한국음악협회 주최) 창작부문 수상
2006년 올해의예술상(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최) 실내악부문 수상
2009년 제54회 대한민국예술원상(대한민국예술원 주최) 수상
2010년 제5회 대원음악상(대원문화재단 주최) 대원음악작곡상 수상
◈ 대표저서 ◈
백병동. "나의 음악을 말한다." 『낭만음악』 통권 8호 (가을, 1990): 7-46.
백병동. 『교양의 음악』. 서울: 지학사, 1985.
백병동. 『대학음악이론』.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2007.
백병동. 『소리 혹은 속삭임』. 도서출판 은애, 1981.
백병동. 『음악이론』.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1977.
백병동. 『일곱 개의 페르마타』. 서울: 문예비평사, 1979.
백병동. 『작품을 통한 현대음악의 흐름』. 서울: 수문당, 2007.
백병동. 『현대음악에의 접근을 위한 비교작곡가론』. 서울: 음악춘추사, 1996.
백병동. 『현대음악의 흐름』. 서울: 수문당, 1990.
백병동. 『화성학 해제집』. 서울: 수문당, 2005.
백병동. 『화성학』. 서울: 수문당, 1984.
[교과서]
백병동, 최헌, 문경해, 홍기순, 김은하. 『(고등학교) 음악』. 서울: 천재교육, 2005.
백병동, 최헌, 문경해, 홍기순, 김은하. 『(중학교) 음악 1-3』. 서울: 천재교육, 2005.
백병동, 최헌, 문경해, 홍기순, 김은하.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1-3』. 서울: 천재교육, 2005.
백병동, 최헌, 문경해, 홍기순, 김은하. 『(중학교) 음악: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2005.
◈ 기타자료 ◈
1957년 가곡 <늪>
1957년 가곡 <동백꽃>
1957년 어린이를 위한 모음곡
1959년 송해섭(宋海燮)의 주제에 의한 7 변주곡(7 Variation über ein Thema von Hae-sup Song)
1960년 가곡 <기분전환>
1960년 가곡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1960년 가곡 <연정>
1960년 가곡 <창>
1960년 가곡 <푸른 묘비들이여!>
1960년 바이올린 소나타
1960년 피아노 트리오
1961년 <12음과 세조각의 단상>(2 악기)
1961년 <세개의 소묘>(피아노)
1961년 가곡 <남으로 창을 내겠오>
1961년 가곡 <소라>
1961년 가곡 <자장가>
1962년 <교향적 3장>
1962년 <침체된 음향>
1962년 가곡 <빠알간 석류>
1962년 첼로 소나타
1963년 <고전조곡>(피아노)
1963년 <서정주제에 의한 파라프레이즈>
1963년 <조곡>(목관, 현)
1963년 현악4중주 1번
1964년 가곡 <나그네>
1964년 가곡 <마을>
1965년 <실내음악>(가야금)
1966년 가곡 <빈약한 올훼의 회상>
1966년 가곡 <삼매 Ⅰ>
1966년 첼로 소나타 2번
1967년 오페레타 <석가탑>
1968년 가곡 <강강술래>
1968년 가곡 <아리랑>
1968년 가곡 <어둠과 시간과>
1968년 가곡 <화장장에서>
1969년 <진여(眞如)>(소프라노, 관현악)
1969년 첼로 협주곡
1970년 <운(韻)Ⅰ>(오보에, 피아노)
1971년 <세엽 (細葉)>(3 연주자)
1971년 <정취(情趣)>(관현악)
1972년 <신별곡(新別曲)>(가야금)
1972년 <실내음악 2번>(가야금, 6대 악기)
1972년 <에스하베>(7 연주자)
1972년 <운(韻) Ⅱ>(피아노)
1972년 무용극 <춘향전>
1972년 비올라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
1973년 <방황>(2 하프)
1973년 <실내(室內)>
1973년 <아침>(플루트, 소프라노)
1973년 <운(韻) Ⅲ>(하프)
1973년 가곡 <곡(哭)! 신동엽>
1973년 가곡 <진혼가>
1973년 극음악 <노비문서>
1973년 목관 5중주곡
1973년 세개의 바가텔(피아노)
1974년 <변용(變容)>(83인 연주자)
1974년 <진혼(鎭魂)>(3 오보에, 관현악)
1974년 피아노 협주곡
1975년 <명(冥)>(가야금)
1975년 <아침>(3 플루트, 소프라노)
1975년 무반주 첼로를 위한 4개의 소품
1975년 합창곡 <대사(臺詞) 더듬기>
1976년 가곡 <자주구름>
1976년 국악합주곡 <운락(韻樂)>
1976년 합창곡<밤의 강>
1977년 <고전조곡>(7대 악기)
1977년 <대사(對斜)>(국악합주)
1977년 <정취(情趣)>(가야금)
1977년 <파란풍선>
1977년 가곡 <아침>
1977년 극음악 <이화부부>
1977년 현악4중주 2번(Zweite Streichquartett)
1978년 <대사-Ⅱ>(대금, 양금)
1978년 <선에 관한 각서>(피아노)
1978년 <아비스>(관현악)
1978년 <에피그람>(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1978년 <연계(連繼, Verknüpfung)>(피아노)
1978년 <운(韻) Ⅳ>(바이올린)
1978년 <프롤로그와 에필로그>(인성(여성), 콘트라바스)
1978년 무용극 <덫>
1979년 <시나위>(5대 악기)
1979년 <운(韻) Ⅴ>(트럼본, 현)
1979년 <조그마한 밤의 노래>
1979년 <파사칼리아>(타악기 앙상블)
1980년 무용극 <창살에 비친 3개의 그림>
1981년 <소리>(플룻, 기타, 첼로)
1981년 <운(韻) Ⅳ>(플루트, 피아노)
1981년 <추흥사(秋興詞)>(2 호른, 현악합주)
1981년 무용극 <짱깽맨이의 편지>
1982년 <3부작>(1인 플루트주자)
1982년 <선에 관한 각서>(포 핸즈)
1982년 <여울목>(현악합주)
1982년 극음악 <신화 1900>
1983년 <사라진 영을 위하여>(타악기 합주)
1983년 <산수도(山水圖)>(관현악)
1983년 <파사칼리아>(비올라, 실내악)
1984년 <기타리아나>(2 기타)
1984년 칸타타 <산하여! 아침이여!>
1985년 <가요삼제>(합창, 국악 관현악)
1985년 <소나테 소노르>(피아노)
1985년 피아노3중주
1986년 <포구(浦口)>(관현악)
1986년 오페라 <이화부부>
1987년 <9월에>
1987년 <명(冥)>(플루트, 클라리넷, 기타, 비올라, 콘트라바스)
1987년 <별곡(別曲)>(바이올린, 피아노)
1987년 가곡 <삼매 Ⅱ>
1987년 가곡 <추억>
1988년 <반향(反響)>(마림바, 2인 타악기주자)
1988년 <환명(還冥)>(가야금, 훈, 좌고)
1988년 가곡 <바다와 나비>
1988년 챔발로를 위한 3개의 바가텔
1989년 첼로와 콘트라바스를 위한 5개의 조곡
1990년 <담즙 淡汁>(기타)
1990년 교성곡 <육이오>
1990년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5개의 소품
1990년 피아노와 타악기를 위한 2중주
1992년 <담즙(淡汁)>(가야금3중주)
1993년 가곡 <귀천>
1994년 <사잇소리>(대금5중주)
1994년 가곡 <물수제비>
1995년 <시나위>(일본악기)
1995년 가곡 <계절그리기>
1996년 <꽃에 관한 네 개의 가곡>(소프라노, 관현악)
1996년 관현악을 위한 2장
1997년 <파사칼리아>(바이올린 독주)
1997년 가곡 <겨울>
1998/2010년 <오늘 98년 9월 - 뒤틀림에서 초연의 피안으로>(해금, 양금)
1998년 제 2 실내협주곡
1998년 합주곡 <녹향송>
1999년 <콘체르탄테 오스티나토>
1999년 목관5중주곡 2번
1999년 오페라 <사랑의 빛>
1999년 합주곡 <99년을 땅에 묻다>
2000년 <겨울잔치>(호른, 관현악)
2000년 <해조음(海潮音)>(관현악)
2000년 가곡 <허행초>
2001년 오페라 <눈물 많은 초인>
2003년 현을 위한 <부러진 기둥>
2004년 <명(冥)Ⅱ>
2004년 <인간이고 싶은 아다지오>(클라리넷, 현)
2004년 여창가곡 <불꽃이 있어야 불을 붙이죠>
2006년 <스크린 판타지>
2006년 <실내음악 3번>(가야금, 5대 악기)
2006년 현을 위한 3장
2007년 가야금을 위한 주제와 변주
2007년 첼로와 국악 관현악을 위한 4장
2008년 가곡 <그리움이>
2008년 가곡 <어둠>
2010년 <비우고 가고(Empty and Gone)>
2010년 <서완조>(가야금, 현 합주)
연대미상 <농·학(弄·鶴)>(가야금, 25현금)
연대미상 <다섯가지 소묘>(클라리넷, 피아노)